구엔리안 베르흐 그리퍼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엔리안 베르흐 그리퍼드는 귀네드의 그리피드 압 커난과 앙하라드 베르흐 오와인의 딸로, 데허이바르스의 왕 그리퍼드 압 리스와 결혼하여 6남 2녀를 낳았다. 남편과 함께 노르만인의 침략에 맞서 유격전을 펼쳤으며, 1135년 잉글랜드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인한 혼란기에 노르만인에 대항하여 군대를 이끌었으나 패배하여 참수당했다. 그녀의 죽음은 남웨일스에서 봉기를 촉발시켰으며, 웨일스인들은 전투에서 "구엔리안의 복수"를 외치며 그녀를 켈트족 여전사 부디카에 비견했다. 또한, 구엔리안은 '마비노기의 네 가지'의 저자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36년 사망 - 위그 드 파앵
위그 드 파앵은 12세기 초 예루살렘에서 성지 순례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창설된 성전 기사단의 초대 단장이며, 1118년 8명의 기사와 함께 기사단을 창설하여 세력을 확장하다가 1136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1136년 사망 - 하랄 4세
하랄 4세는 12세기 초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시구르 1세의 사생아임을 주장하며 노르웨이 왕위를 요구, 마그누스 4세와의 내전에서 승리하여 단독 왕위에 올랐으나 시구르 슬렘베에게 암살당해 노르웨이에 내전 시대를 초래했다. - 아베르브라우가 - 그리피드 압 커난
그리피드 압 커난은 11세기 후반 그위네드를 통치한 웨일스 왕으로, 더블린에서 태어나 왕위 쟁탈전을 거쳐 1081년 즉위 후 노르만족과의 갈등 속에서도 웨일스 봉기를 주도하며 그위네드의 지위를 강화했고, 1137년 사망 후 아들 오와인 그위네드가 왕위를 계승했다. - 아베르브라우가 - 허웰린 압 그리피드
허웰린 압 그리피드는 르웰린 대왕의 손자이자 웨일스 공으로, 잉글랜드와의 갈등 속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독립을 위해 저항했으나 결국 패배하여 웨일스 민족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구엔리안 베르흐 그리퍼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남브리튼인의 왕비 |
원어 이름 | (구엔리안 베르흐 그리퍼드) |
휘 | 그리피드의 딸 구엔리안 () |
출생일 | 1100년경 |
출생지 | 귀네드 왕국 어너스몬 |
사망일 | 1136년 |
사망지 | 커두엘리성 근교 |
가문 | 아베르브라우 |
통치 정보 | |
재위 | 1116년? ~ 1136년 |
전임자 | 굴라더스 베르흐 리왈론 |
후임자 | ??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그리피드 압 커난 |
어머니 | 앙하라드 베르흐 오와인 |
배우자 | 그리퍼드 압 러스 |
자녀 | 아들: 모르간(Morgan), 마엘구인(Maelgwyn), 오와인(Owain), 마레디드(Maredudd), 러스(Rhys), 시온(Sion) 딸: 굴라두스(Gwladus), 네스트(Nest) |
2. 생애
귀네드의 그리피드 압 커난과 앙하라드 베르흐 오와인의 딸로, 귀네드의 아베르브라우 왕가의 영지인 어너스몬에서 태어났다. 그리피드 왕의 5남 3녀 중 막내였으며,[17] 족보를 따져보면 에린의 아르드리 브리안 보루마의 외현손녀가 된다. 구엔리안의 부친 그리피드의 모친 라근힐다의 부친 올라프의 모친 슬라너의 부친이 브리안이다.
구엔리안은 빼어난 미인으로 자랐으며, 1113년경 데허이바르스 왕 그리퍼드 압 리스와 사랑에 빠져 난질을 했다.[18] 1116년 직후 정식으로 결혼했다.[19]
2. 1. 가족
구엔리안은 빼어난 미모로 유명했으며, 1113년경 데허이바르스의 왕자 그리퍼드 압 리스와 사랑에 빠져 도피 결혼했다.[18] 1116년 직후 정식으로 결혼하여[19] 슬하에 6남 2녀를 두었다.[17]이름 | 출생년도 | 사망년도 | 비고 |
---|---|---|---|
모르간 압 그리퍼드 (Morgan ap Gruffydd|모르간 압 그리피드cy) | 1116년경 | 1136년 | 장남 |
마엘구인 압 그리퍼드 (Maelgwyn ap Gruffydd|마엘구인 압 그리피드cy) | 1119년경 | 1136년 | 차남 |
굴라두스 베르흐 그리퍼드 (Gwladus ferch Gruffydd|굴라두스 베르흐 그리피드cy) | 1120년-1130년 사이 | 1175년 7월 25일 이후 | 장녀[20][21][22] |
네스트 베르흐 그리퍼드 (Nest ferch Gruffydd|네스트 베르흐 그리피드cy) | 1120년-1130년 사이 | 1175년 7월 25일 이후 | 차녀 |
오와인 압 그리퍼드 (Owain ap Gruffydd|오와인 압 그리피드cy) | 1126년경 | 1156년 이후 | 삼남[23] |
마레디드 압 그리퍼드 (Maredudd ap Gruffydd|마레디드 압 그리피드cy) | 1130/1년경 | 1155년 | 사남[24] |
러스 버한 압 그리퍼드 (Rhys Fychan ap Gruffydd|러스 버한 압 그리피드cy) | 1132년경 | 1197년 4월 27일 이후 | 오남[25] |
시온 압 그리퍼드 (Sion ap Gruffydd|시온 압 그리피드cy) | 1134년경 | 1155년 이후 | 육남[23] |
2. 2. 노르만족과의 항쟁
구엔리안은 남편 그리퍼드 압 리스와 함께 데허이바르스의 디네부르성에서 살았다. 당시 데허이바르스는 노르만족의 침공으로 노르만인, 앵글인, 플람스인 식민지가 곳곳에 건설된 상황이었다.[18] 구엔리안과 남편은 산악 지대와 삼림 지대의 요새를 거점으로 유격전을 펼치며 노르만족에 저항했다.[18]1135년, 잉글랜드에서 스티븐과 마틸다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무정부시대)이 일어나면서 웨일스는 변경 영토를 회복할 기회를 얻었다.[26][27] 1095년에 이미 노르만족에게 정복당했던 브러헤이니옥에서 허우엘 압 마레디드가 봉기하여 구어르로 진군, 노르만-앵글 식민자들을 격파했다(가른고흐 전투).[18][26] 이에 고무받은 그리퍼드는 장인이자 구엔리안의 아버지인 귀네드의 그리퍼드 왕에게 지원을 요청하러 갔다.[26]
2. 3. 최후
1135년, 잉글랜드에서 스티븐과 마틸다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이 일어나 중앙정부의 권위가 붕괴, 무정부시대의 혼란기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웨일스는 변경 영토를 회복할 기회를 얻었다.[26][27]구엔리안의 남편 그리퍼드가 그녀의 친정에 가서 친정아버지와 동맹을 맺는 동안, 모리스 드 롱드르 등 노르만인들이 데허이바르스에 들이닥쳤다. 구엔리안은 이를 방어하기 위해 자신이 군대를 일으켜야 했다.[26][28][29] 커두엘리성 근교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구엔리안은 패퇴했다. 장남 모르간은 전사하고, 구엔리안은 차남 마엘구인과 함께 노르만인들에게 붙잡혀 참수되었다.[26]
3. 영향
구엔리안의 죽음은 웨일스인들을 분노하게 했고, 각지에서 봉기가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26] 특히 구엔트의 요르웨르스 압 오와인(카라독 압 그리퍼드의 손자)은 케레디기온을 점령한 노르만 영주 리처드 피츠길버트 드 클레어를 습격해 살해했다. 이 소식이 귀네드에 전해지자, 구엔리안의 오빠들인 오와인과 카드왈라드르는 케레디기온을 침공하여 한비항겔, 아베러스투이스, 한바다른을 점령했다.[26]
구엔리안은 전투에서 군대를 지휘한 유일한 웨일스 여성으로 기록되었으며, 켈트족 여전사 부디카와 비견되기도 한다.[18] 이후 수백 년 동안 웨일스인들은 전투에 임할 때 "구엔리안의 복수"를 외쳤다.[18] 구엔리안 부부는 노르만, 앵글, 플람스 식민지 개척자들의 재산을 빼앗아 웨일스인들에게 재분배하여, 역사학자 Philip Warner는 이들을 "웨일스의 로빈 후드"와 같았다고 평가했다.[18]
마비노기의 네 가지의 저자가 구엔리안이라는 설이 있다.[30]
4. 유산
구엔리안이 비록 전투에서 패배했으나, 그녀의 애국적인 반란은 남웨일스의 다른 이들에게 봉기를 일으키도록 영감을 주었다.[11] 전투가 벌어진 키드웰리 성 근처의 들판은 'Maes Gwenllian'(그웬리안의 들판cy)이라 불린다. 들판에 있는 샘 또한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녀가 죽은 자리에서 솟아났다고 전해진다. 이 들판은 머리 없는 구엔리안의 유령이 출몰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15]
구엔리안은 전투에서 군을 지휘한 기록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웨일스인 여성으로, 그 행적은 다른 켈트 여전사 부디카와 종종 비교되어 왔다. 이후로도 수백 년 동안 웨일스인들은 전투에 임하여 "구엔리안의 복수"를 외쳤다.[18][3]
참조
[1]
웹사이트
Gwenllian verch Gruffydd (1085–1136) – Mathematical.com
http://www.mathemati[...]
2013-04-19
[2]
문서
Brian Boru -> Sláine ingen Briain -> Óláfr Sigtryggsson -> Ragnhilda Olafsdottir -> Gruffydd ap Cynan -> Gwenllian verch Gruffyd
[3]
서적
Famous Welsh Battles
Barnes and Noble, Inc.
1997
[4]
웹사이트
GWENLLIAN (died 1136),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8-10
[5]
웹사이트
GWENLLIAN (died 1136)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1-04
[6]
웹사이트
GRUFFYDD ap RHYS (c. 1090 - 1137), prince of Deheubarth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8-10
[7]
뉴스
The untold story of Wales' Joan of Arc - the sword-wielding heroine you've probably never heard of
https://www.walesonl[...]
WalesOnline
2019-05-01
[8]
간행물
https://cadw.gov.wal[...]
Cadw (Llywodraeth Cymru Welsh Government)
2020-08-14
[9]
웹사이트
MAREDUDD ap GRUFFYDD ap RHYS (1130 or 1131 - 1155), prince of Deheubarth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1-24
[10]
웹사이트
RHYS ap GRUFFYDD (1132 - 1197), lord of Deheubarth, known in history as ‘Yr Arglwydd Rhys’ (‘The lord Rhys’)..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1-24
[11]
서적
A History of Wales; From the Norman Invasion to the Edwardian Conquest
Barnes & Noble Publishing, Inc.
2004
[12]
서적
A History of Wales
Penguin
1994
[13]
웹사이트
Kidwelly Castle
http://www.kidwellyh[...]
[14]
문서
From Kidwelly Castle by C. A. Ralegh Radford: "The account speaks of Maurice de Londres, Lord of Kidwelly, and Geoffrey, Constable of the Bishop, as leaders of the Norman army. Maurice, who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in connection with this district, already possessed [[Ogmore, Glamorgan|Ogmore]] in [[Glamorgan]], where his father [[William of London|William de Londres]] appears to have been one of the original conquerors. The coupling of the two names suggests that [[Roger of Salisbury]], while retaining possession of the castle, had granted the lordship of the district to Maurice de Londres, who probably acquired the castle also when the bishop died in the following year."
[15]
웹사이트
The top 10 most terrifying ghosts and ghouls in all of Wales
https://nation.cymru[...]
Nation.Cymru
2024-07-04
[16]
뉴스
Experts clash over theory of female author of Mabinogion
http://www.walesonli[...]
Western Mail
2009-07-06
[17]
웹사이트
Gwenllian verch Gruffydd (1085–1136) – Mathematical.com
http://www.mathemati[...]
2013-04-19
[18]
서적
Famous Welsh Battles
Barnes and Noble, Inc.
1997
[19]
웹사이트
GWENLLIAN (died 1136),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8-10
[20]
웹사이트
GWENLLIAN (died 1136)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1-04
[21]
웹사이트
GRUFFYDD ap RHYS (c. 1090 - 1137), prince of Deheubarth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8-10
[22]
뉴스
The untold story of Wales' Joan of Arc - the sword-wielding heroine you've probably never heard of
https://www.walesonl[...]
WalesOnline
2019-05-01
[23]
간행물
https://cadw.gov.wal[...]
Cadw (Llywodraeth Cymru Welsh Government)
2020-08-14
[24]
웹사이트
MAREDUDD ap GRUFFYDD ap RHYS (1130 or 1131 - 1155), prince of Deheubarth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1-24
[25]
웹사이트
RHYS ap GRUFFYDD (1132 - 1197), lord of Deheubarth, known in history as ‘Yr Arglwydd Rhys’ (‘The lord Rhys’)..
https://biography.wa[...]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2020-01-24
[26]
서적
A History of Wales; From the Norman Invasion to the Edwardian Conquest
Barnes & Noble Publishing, Inc.
2004
[27]
서적
A History of Wales
Penguin
1994
[28]
웹사이트
Kidwelly Castle
http://www.kidwellyh[...]
[29]
문서
From Kidwelly Castle by C.A. Ralegh Radford: "The account speaks of Maurice de Londres, Lord of Kidwelly, and Geoffrey, Constable of the Bishop, as leaders of the Norman army. Maurice, who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in connection with this district, already possessed [[Ogmore, Glamorgan|Ogmore]] in [[Glamorgan]], where his father [[William of London|William de Londres]] appears to have been one of the original conquerors. The coupling of the two names suggests that [[Roger of Salisbury]], while retaining possession of the castle, had granted the lordship of the district to Maurice de Londres, who probably acquired the castle also when the bishop died in the following year."
[30]
뉴스
Experts clash over theory of female author of Mabinogion
http://www.walesonli[...]
Western Mail
2009-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